<p></p>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국의 외교안보 사령탑인 볼턴 백악관 보좌관이 우리나라와 일본을 방문하기 위해 출국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과연 한일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모종의 역할을 할 지 궁금합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워싱턴을 출발한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. <br> <br>일본을 방문한 뒤 23일에는 1박 2일 일정으로 한국을 찾습니다. <br><br>청와대는 볼턴 보좌관이 24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만나고 방한 기간 강경화 외교부장관과 정경두 국방부장관도 만난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한반도 비핵화, 한미 동맹 등이 주요 의제로 언급됐지만 일본에 이어 한국을 찾는만큼 한일 갈등 상황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할거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아마도 (한일 정상이) 둘 다 원한다면, 나는 (관여)할 것입니다. 나를 필요로 원한다면, 거기 있을 겁니다. 바라건대 그들이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" <br> <br>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'양국간 해결'을 언급한만큼 미국의 역할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] <br>"미국으로서는 당장 중재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상황 악화를 방지하면서, 양자 교섭으로 문제를 풀라는 메시지를 낼 것으로 봅니다." <br> <br>볼턴 보좌관이 북미 실무협상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호르무즈 해협 파병을 요청하는 등 안보 이슈만 언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