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아베 총리가 전면에 선 것처럼 우리도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말했습니다. <br> <br>'극일'을 강조했고, 우리는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손영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을 극복하자며 '극일'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수석·보좌관 회의] <br>"지금까지 우리는 가전, 전자, 반도체, 조선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일본의 절대우위를 하나씩 극복하며 추월해 왔습니다. 우리는 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근원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자는 취지입니다. <br> <br>아베 총리의 '한국이 답을 가져오라'는 요구에는 대통령이 아닌 대변인이 나서 반박했습니다. <br><br>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"우리의 입장은 여러차례 말해왔다"면서 "최소한의 선을 지키며 최선의 노력을 하자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경제보복은 부당한 것으로 중재위 설치는 받아들일 수 없고 외교적 해법으로 문제를 풀자는 겁니다. <br> <br>조국 대통령 민정수석은 오늘도 SNS를 통해 '항전'을 주문했습니다. <br><br>"대한민국의 정통성과 (사법)주권이 일본에 의해 공격받고 있다"며 "한국의 일부 정치인과 언론이 대법원 판결을 비방·매도하는 것은 무도하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 때는 일본 극우모임을 파헤친 '일본회의의 정체'라는 책을 들고왔습니다. <br><br>아베 내각의 우경화 정책이 어디서 나오는지를 추적한 것으로, 경제보복 조치의 배경과 이유를 잘 알고 있다는 시그널을 준 것이란 분석입니다. <br> <br>청와대 관계자는 "문 대통령을 빼고는 현재 청와대에서 조 수석만큼 뛰어난 메신저가 없다”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영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