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삼척 승합차 전복’ 죽음의 급커브 …‘무용지물’ 가드레일

2019-07-23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어제 승합차 전복사고가 난 삼척의 도로는 내리막 경사와 급커브가 이어져 운전하기 어려운 곳입니다. <br> <br>이런 위험한 구간에 안전 설비도 부실해서 피해를 키웠습니다. <br> <br>강경모 기자가 현장을 점검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S자로 휘어진 도로가 계속해서 이어집니다. <br> <br>도로 폭이 좁은 데다 경사까지 심하다 보니 달리던 차량들은 중앙선을 침범하기 일쑵니다. <br> <br>[이승택 / 교통안전공단 연구원] <br>"종단 경사가 12~14%가 나오면 거의 최대치로 설계한 거에요. 속도를 위에서부터 감속하고 주행해야하는 그런 도로입니다." <br> <br>16명을 태우고 가던 승합차는 이곳에서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그대로 도로 밖으로 튕겨나갔습니다. <br><br>17년 된 낡은 차로 꼭두새벽 충남 홍성에서 출발해 목적지인 경북 봉화까지 6시간 넘게 이동하던 중이었습니다. <br><br>사고를 막아줘야 하는 가드레일도 무용지물이었습니다. <br><br>이번 사고로 가드레일이 훼손되자 강원도는 플라스틱으로 된 임시 가드레일을 설치했습니다. <br><br>위험 구간인 만큼 고강도의 5등급 가드레일이 설치해야 하지만, 사고 현장의 가드레일인 일반도로에 설치하는 2등급 제품이었습니다. <br><br>심지어 관할 지자체는 언제 설치됐는지도 모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강원도도로관리사업소 관계자] <br>"그 이력이 없어요. (가드레일) 설치를 언제했는지. 등급이 높은 걸로 설치를 하려고 계획하고 있구요, 필요한 구간이죠." <br><br>경찰은 사고 승합차에 대해 국과수에 정밀감식을 의뢰하는 한편, 사고 직후 잠적했던 태국인 3명의 소재를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kkm@donga.com <br>영상취재:김민석 <br>영상편집:장세례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