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8년 전 참사 겪고도...산사태 관리 '구멍' / YTN

2019-07-26 3 Dailymotion

중부지방 곳곳에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산사태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마침 내일(27일)은 16명의 사망자를 낸 우면산 산사태가 난 지 8년째 되는 날입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이 전문가와 함께 산사태 위험 지역을 점검했더니 여전히 허점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나혜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6명이 숨지고 50여 명이 다친 2011년 우면산 산사태. <br /> <br />8년이 지났지만, 아직 현장에는 참사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수곤 / 前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: 여기 보면 거의 뭐, (밑동이) 거의 노출돼 있어요.] <br /> <br />우면산과 멀지 않은 관악산 자락을 찾아가 봤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6년 서울 금천구가 '산사태 취약지역'으로 지정한 곳입니다. <br /> <br />산과 민가가 맞닿아 있지만, 축대벽 등 산사태 대비 시설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이수곤 / 前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: 토석류가 내려오면 바로 밑에 건물이 있잖아요. (위에서) 치고 내려오면 (건물) 힘으로 못 막아요.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죠.] <br /> <br />비슷한 환경에 있는 다세대 주택이 30채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제 뒤로 보이는 산자락은 지자체가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는 곳입니다. <br /> <br />가파른 경사 끝에 아무런 안전시설도 없이 주택들이 그대로 들어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악구의 다른 취약지역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계곡의 물길을 정비하는 등 산 쪽의 보수 공사를 마쳤다고 하는데, 바로 앞에 있는 아파트 단지는 토사의 유입을 막을 대비가 여전히 허술합니다. <br /> <br />[이수곤 /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: 펜스는 그냥 경계 펜스일 뿐 산사태 막는 펜스는 아니고요. 펜스가 놓여 있는 기초를 보면 석축이 있는데 시멘트가 밑이 다 뜯어져 나왔어요.] <br /> <br />주민들은 이곳이 산사태 취약지역인지도 모릅니다. <br /> <br />[마을 주민 : (산사태 취약지역이 있다는 말을 들어보셨는지?) 들어보지는 않았고…. 며칠 전부터 무슨 공사하는 소리는 들었어요.] <br /> <br />[김향희 / 마을 주민 : 아직은 그런 정보를 들은 게 없어요. (그건 이제) 구청이나 그런 데서 요원들이 나와서 취약지역을 점검해야죠.] <br /> <br />우면산 산사태 이후, 산림청은 과거 사고 기록을 바탕으로 '전국 산사태 위험지도'를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질과 지형 조건 등을 산사태가 났던 곳과 비교해 전국을 5단계 위험등급으로 나눴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적게는 7년 전, 길게는 무려 39년 전의 자료를 근거로 해 한계가 있습니다.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72621531453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