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회용 기저귀를 의료 폐기물에서 제외하는 문제를 놓고 요즘 논란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 폐기물 처리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정부가 감염 우려가 없는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 폐기물에서 제외하기로 했는데 폐기물 처리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선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전국에서 배출한 의료 폐기물은 22만6천 톤, <br /> <br />2013년 14만4천 톤 규모였던 의료폐기물이 5년 새 57%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요인은 요양병원 등의 일회용 기저귀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의료 폐기물 전용 소각장은 13곳 그대로여서 이미 처리능력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 폐기물이 넘쳐나자 환경부는 감염 우려가 없는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 폐기물에서 제외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등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되자 소각 물량 감소를 우려한 폐기물 처리업계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, <br /> <br />의료폐기물공제조합은 전국 105개 요양병원의 일회용 기저귀를 조사한 결과 모두 97곳에서 감염성 균이 검출됐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병운 /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 사무국장 : 의료기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감염균, 병원균으로부터 감염 우려가 없다는 명확한 검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균이 검출됐다고 바로 감염 우려가 크다고 결론 내리는 것은 잘못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송영구 / 강남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과장 : 균이 나왔다는 것만 갖고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, 위해성이 있다고 단정 짓는 것은 굉장히 과학적인 큰 오류입니다.] <br /> <br />가장 뚜렷한 해법은 의료 폐기물 소각장 추가 건설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선정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이 중단되거나 아예 취소됐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의료폐기물을 일반폐기물 소각장에서도 소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선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72821594876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