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틀 전 서울 목동 빗물펌프장 수몰사고로 작업자 3명이 숨졌습니다. <br> <br>공사 발주처인 서울시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지지 않아 작업을 통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지난해엔 전혀 다르게 대응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수몰사고가 난 건 지난달 31일 오전 8시. <br> <br>서울시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지지 않아 미리 작업통제를 안했다고 해명합니다. <br> <br>[한재현 /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 (그제)] <br>"(작업 중이던) 오전 7시 30분 호우주의보는 발령됐습니다." <br> <br>오전 7시 30분에서야 비상근무령을 내렸지만, 참사를 막지는 못했습니다. <br> <br>작년에는 달랐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10월 26일, 서울시가 시공사인 현대건설에 보낸 업무 지시서입니다. <br><br>"대기 불안정으로 기습 폭우가 올 수 있다"며 "작업자 안전조치와 수문 작동에 만전을 기해달라"고 적혀 있습니다. <br> <br>호우주의보가 내려진 것도 아닌데 많은 비가 온다는 예보만으로 작업자 인원을 통제하라고 지시한 겁니다. <br><br>지난해처럼 대응했다면 이번 참사를 막을 수도 있었던 셈입니다. <br> <br>사고 하루 전인 지난 30일 밤부터 기상청은 강한 비를 예보했지만, 서울시는 호우주의보만 기다리고 있었던 겁니다. <br> <br>지난해와 이번 사고의 대응 태도가 달라진 이유를 물었더니, 공사 기간과 예산 탓을 합니다. <br> <br>[서울시 관계자] <br>"공사 기간이 길어지면 예산도 더 많이 들어가고. 비 소식만 있다고 (작업을) 중지하면 공사 완료하는 데 차질이 발생하죠." <br> <br>경찰은 사고 발생 직후 유일한 탈출구인 방수문을 시공사 직원들이 닫았다는 진술을 확보하고, 다음주 현장감식을 거쳐 안전 관리에 문제가 발견되면 관계자들을 입건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 ed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