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에서 잇따라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 이후 정치권을 중심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책임론이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평소 인종주의를 부추기는 발언을 서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강태욱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미국 사회를 충격으로 몰아넣고 있는 잇단 총격 참사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최소 2개 사건의 범행 동기로 '증오 범죄'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평소 트럼프 대통령의 분열적 언사가 비극을 불러왔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작성한 트윗입니다. <br /> <br />하원 정부감독개혁위원장인 엘리자 커밍스 의원을 잔인한 불량배라고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14일에도 민주당의 여성 유색 인종인 4명의 의원에게 원래의 나라로 돌아가라고 공격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선 정국에서 상대편인 민주당 주자들은 일제히 포문을 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력주자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은 "모든 증거는 우리가 인종주의자이자 백인 민족주의에 호소하는 외국인 혐오자 대통령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향이 엘패소인 베토 오로크 전 하원의원은 CNN방송에 출연해 "트럼프 대통령은 스스로 인정한 인종주의자로 더 많은 인종주의를 부추기고 있다"고 목소리를 높였고, <br /> <br />코리 부커 상원의원도 "트럼프 대통령은 공포와 증오, 편견을 조장했기 때문에 책임이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은 ABC방송에 출연해 '사회적 문제'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어떤 정치인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엄호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 언론들은 민주당 주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인종갈등 부추김을 비난하는 것에서 나아가 더 엄격한 총기규제를 요구하면서 정치 쟁점화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강태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80507344613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