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승민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내 금융시장이 블랙 먼데이를 맞이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증시가 급락하면서 오늘 오후 코스닥 시장에서 사이드카가 발동됐고 원달러환율은 1200원을 돌파하며 2년 7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관련 소식들 최배근 건국대 교수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최배근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우리 금융시장이 상당히 불안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 일단 이 원인을 어디서 찾아야 될까요? <br /> <br />[최배근] <br />기본적으로 저는 때가 온 것 같습니다. 뭐냐하면 그동안에 세계 주식시장들이 풍부한 유동성 공급에 의해서 주가를 끌어올리는 측면이 있어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무슨 말씀이냐면 실물경제를 반영하기보다는 시중에 많은 돈이 풀렸기 때문에 저금리 속에서 유동성을 끌어올린 측면이 있는데 실물경제하고 갭이 결국은 거품이 될 수밖에 없는 건데요. <br /> <br />그게 조정이 좀 필요한 것이고 그 조정에 계기가 필요했던 거죠. 그 계기를 최근에 몇 가지가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면 지난 우리가 7월 말에 연준에서 금리를 한 차례 인하했는데 시장에서는 그러니까 금리를 한 차례 인하가 아니라 원래 7월 말에 일부 시장에서는 한 0. 5%포인트 정도까지 기대를 했었어요, 큰 폭의 인하를요. <br /> <br />그런데 파웰 연준의장이 0.25% 내리면서 계속 인하할 것을 기대하지 말라, 이런 시그널을 보냈죠. <br /> <br />그러니까 시장에서는 굉장히 금융완화로 방향을 틀기를 바랐는데 시장의 기대와 달리 그러니까 금리의 계속적인 인하는 그러니까 불투명한 시그널을 주면서 실망을 시켰죠. 거기다가 미중 무역갈등 같은 경우에는 사실 이건 알려진 변수예요. <br /> <br />알려진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제가 아까 얘기했듯이 어떤 이러한 부정적인 요인들이 심리가, 그러니까 이게 주가가 어디까지 올라갈 것인가, 여기에 대한 의구심들이 있어왔단 말이에요. 그런데 이게 너무 올라간 게 아니냐, 이런 지적들은 굉장히 있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러면 그 속에서 그러한 불안한 하나의 요인들이, 불안한 심리들이 최근에 나타나는 몇 가지 요인들과 결합되면서 방향을 반대로 트는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 같은 경우도 그렇기 때문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80516265185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