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권에서는 도쿄를 포함한 일본 전역을 여행금지 지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방사성 물질 때문에 위험하다는 주장인데, 또 다른 논쟁을 일으켰습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 일본경제침략특위를 이끄는 최재성 의원이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 대응으로 '여행 금지'를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방사능 물질이 과하게 검출됐다며 일본을 여행금지 지역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최재성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MBC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 <br>"여행금지 구역을 사실상 확대를 해야 됩니다. 도쿄에서 방사능 물질이 기준치보다 4배인가 초과돼서 얼마 전에 검출이 됐거든요." <br> <br>외교부가 지정하는 여행 경보는 4단계로 나뉩니다. <br><br>여행유의와 여행자제, 철수권고에 이어 여행금지가 가장 강한 조치입니다. <br> <br>현재 후쿠시마 원전 반경 30km 이내 지역 등은 3단계인 '철수권고' 경보가 내려져 있습니다.<br><br>'여행 금지' 지역을 방문하면 여권법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는데, 이 지역에 일본 도쿄를 포함하자는 겁니다. <br><br>현재 여행금지 국가는 모두 7곳으로 아프가니스탄과 리비아, 시리아, 예멘 등 분쟁 지역이 대부분입니다.<br> <br>당 안팎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주장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민주당 내에서는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하고 있는데 정부가 나서면 오히려 일본에게 또다른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. <br><br>바른미래당 이준석 최고위원은 "되지도 않을 이야기가 나오는 거 보니 실효적인 대책이 없나보다"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