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환율전쟁으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재무부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 농산물 수입을 중단한 것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조치라고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연결합니다. 기정훈 기자! <br /> <br />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미국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현지시각 5일 성명을 내고 "최근 중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했다"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므누신 장관은 이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권한으로 이뤄진 것이라며 중국의 불공정한 경쟁을 제거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, IMF와 관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므누신 장관은 또 중국이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이고 큰 규모의 개입을 통해 통화가치 절하를 용이하게 해온 오랜 역사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은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인 지난 1994년 이후 25년 만의 일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정엔 어제의 중국 위안화 환율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 위안화의 가치는 어제 (5일) 역내외에서 모두 달러당 7위안을 돌파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이른바 포치(破七)가 이뤄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5월 이후 약 11년여 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중국이 미국 농산물 수입을 중단한 것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조치라는 점을 확인했다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기업의 미국 농산물 구매 중단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조치라는 것을 중국 외교부가 공식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 외교부 웹사이트에서 미국이 3천억 달러어치의 중국 상품에 10%의 추가 관세를 부과해, <br /> <br />양국 정상이 오사카 회담에서 달성한 공동 인식을 엄중히 위배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화춘잉 대변인은 국무원 관세 세칙 위원회가 8월 3일 이후 새로 거래가 성사된 미국 농산물 구매에 대해 추가 관세를 면제하지 않기로 했고 중국의 관련 기업은 이미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중단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8월 3일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천억 달러 중국 상품에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80609473267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