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중국도 바로 맞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일단 미국을 “배신자”로 불렀습니다. <br> <br>그런 뒤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고 베이징과 하와이를 잇는 항공 노선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관광도 무기로 삼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베이징 권오혁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중국 인민은행은 미국을 겨냥한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 <br><br>"중국에 환율조작국 딱지를 붙인 것은 미국 멋대로의 일방적인 행태"라고, 맹비난했습니다. <br><br>그러면서 환율조작국 지정에 아랑곳없이 위안화 가치를 다시 한번 끌어내렸습니다.<br> <br>다만 환율방어용 채권발행 계획을 밝히며, 속도 조절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김정식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] <br>“(중국 정부) 방향은, 환율을 올리는데 속도를 어느 정도 통제하면서 올리는 것이 중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.” <br> <br>중국 상무부는 보복 조치를 내놨습니다.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,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<br>미국 중서부 농민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이란 점을 노린 겁니다. <br><br>중국의 관영 인민일보는 미국을 배신자로 지칭하며 "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될 것”이라고 비난했습니다. <br><br>"이런 상황에서, 중국 국영항공사인 에어차이나가 오늘 돌연 베이징 하와이간 정기노선 운항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중국이 관광객을 무역전쟁의 수단으로 본격 동원하려는 움직임이란 해석이 나옵니다. 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권오혁입니다." <br> <br>hyuk@donga.com <br> <br>영상촬영: 위보여우(VJ) <br>영상편집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