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자세한 이야기, 국제부 김민지 기자와 나눠봅니다. <br><br>Q1. 해양에 유출할 경우 얼마나 위험한 겁니까? <br><br>전문가들은 위험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단 방사성 오염수는 정화과정을 거쳐 저장탱크에 보관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삼중수소, 트리튬이라 불리는 방사성 물질이 정화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이 때문에 트리튬에 노출된 생선을 먹게 되면 최상위 포식자인 사람이 피폭당할 수 있는 겁니다. <br> <br>[장마리/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기후에너지 캠페이너] <br>"무엇보다 방사성 핵종들은 반감기가 굉장히 길고 내부에 축적되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." <br><br>Q1-1. 당장 그 지역 주민들은 반발이 클 것 같은데요? <br><br>네, 반발이 거셉니다. <br> <br>대부분 어업 종사자인 주민들은 국민 이해를 얻지 못한 상황에서 방사성 오염수의 해양 유출은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. <br> <br>또 인위적으로 흘려보내는 것은 윤리에 반한다고 반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후쿠시마현 수산물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생계의 위협을 받는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아울러 주민들은 오염수의 해양 유출과 함께 수증기 방출, 지하 매설 등의 다른 4가지 방안도 반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2. 해양으로 방출하면 한국도 위험한가요? <br><br>원자력 관련 전문가들은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. <br><br>우선 후쿠시마 현이 태평양과 가까운데요, <br> <br>방사성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알래스카를 거쳐 미국, 멕시코 등을 지나 우리나라 바다 근처로 올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이런 가운데 원자력 관련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앞바다와 우리나라 동해가 인접해있지 않은 만큼 직접적 영향은 덜하지 않겠냐는 반응도 많았습니다. <br> <br>현재 우리나라는 후쿠시마현 인근 수산물을 수입하지 않고 있는데요, 그 외 현의 수산물은 들어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가리비나 멍게, 명태 등인데요, 방사성 물질이 나온 적은 없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최근 국민청원에서 일본에서 온 활어차가 활개친다는 내용 등이 나오는데요, <br> <br>일본산 수산물의 무분별한 난입에 대한 우려는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<br>Q3. 도쿄 전력, 안 흘려보낼 수는 없습니까? <br><br>바로 '처리 비용' 때문입니다. <br> <br>앞서 일본 경제산업성이 3년 전 오염수 처리 방식에 따른 비용을 밝혔는데요. <br><br>당시 80만 톤을 기준으로 할 때 바다에 오염수를 버리면 34억 엔이 들었고, <br> <br>다른 방안으로 알려진 수증기 방출에는 그 10배인 349억엔, <br><br>콘크리트로 지하에 묻는 경우는 2533억엔이 든다고 추산했습니다. <br><br>일본에 있는 한 원자력 전문가는 지난해 주민 대상 공청회는 요식행위에 불과하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주민들이 강력 반발해도 처리 비용이 저렴한 오염수 유출을 답으로 정해놓고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내년 올림픽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오염수 유출을 당장 강행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전망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