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홍콩은 '아시아의 진주'라는 별명을 가진 관광지인데, 외국인은 물론 중국 본토에서 오는 관광객이 뚝 끊겼습니다. <br> <br>홍콩상인들은 2003년 전염병 사스가 창궐했을 때보다 어렵다고까지 했습니다. <br> <br>권오혁 특파원이 현장을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중국 반환을 앞둔 홍콩을 시대적 배경으로 했던 영화 첨밀밀, <br><br>한국에도 유명한 영화의 배경이자, 홍콩 최대 번화가인 침사추이 거리입니다. <br> <br>최근 매출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하는 곳은 관광객들을 상대하는 식당입니다. <br> <br>[진백중 / 침사추이 한식당 점주] <br>“작년 (이맘때) 3개월 매출 생각하면 지금은 거의 절반 정도 수준입니다. 많이 어려운 상황이죠." <br> <br>시위가 열리는 주말에는 특히 안전 우려 때문에 손님들 발길이 뚝 끊깁니다. <br> <br>동아시아를 휩쓴 전염병 사스가 유행했던 2003년보다 어렵단 말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[라이 엥람 / 침사추이 식당 관계자] <br>“시위 전에는 투어 손님 30~50명 기본인데, 지난 2개월 동안 점심 투어 손님이 거의 없어요.” <br><br>“이 곳은 최근 홍콩의 명소로 주목받고 있는 타이쿤입니다. 관광객들이 크게 줄면서 이 같은 명소에도 사람들이 북적이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.” <br><br>중국 기자 폭행 사건 등, 거센 홍콩의 반중 기류가 전해지면서, 중국 본토인들을 자극한 것도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중국 SNS에는 “앞으로 절대 홍콩으로 여행가지 않겠다”는 게시물이 올라오고 있습니다. <br><br><br>"이번 시위 사태로 지금까지 발생한 홍콩의 경제적 손실이 960억 원 이상이라는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. 사태 해결의 출구조차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, 홍콩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 홍콩에서 채널A 뉴스 권오혁입니다. 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