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안전한 원전 해체 기술이 원자력 산업의 새 화두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폐기된 원자로 속 물질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11년 3월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. <br /> <br />8년이 훌쩍 넘은 지금까지 원자로 해체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당시 섭씨 2천5백 도가 넘는 고온에 의해 원자로 안에서 핵연료와 피복관, 금속 구조재가 함께 녹아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 용융 물질에 대한 분석이 끝나지 않은 겁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폐원자로 내 용융물질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유해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임상호 /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화학연구실장 : 실제 용융물을 저희가 구현을 해냈고요. 그것을 구현한 융용물을 통해서 라만 및 X-레이 분광법을 활용해서 그 구조를 밝혔습니다.] <br /> <br />중대한 원전 사고에서 생성되는 용융물질에 대한 기초 정보가 부족한 가운데 연구팀은 용융물질의 주성분인 우라늄과 지르코늄 합성 산화물의 특정 구조를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. <br /> <br />중대 사고 시 원자로 속 용융물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이 기술은 향후 원자력 안전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용융물질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면 안전한 해체 공법의 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안병찬 /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: 사고 수습할 때 제일 중요한 것은 사고 수습하는 사람들한테 어떤 물질이 있고, 어떤 상태에 원자로가 놓여 있다는 것을 제공해 줘야 합니다. 그것 없이는 절대 접근하지 않을 거예요.] <br /> <br />한국원자력연구원과 연세대 공동 연구로 일군 이번 연구성과는 원자력 분야 최고 학술지 '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에너지 리서치'의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eejwo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81602203052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