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조국 후보자는 위장전입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청와대 기준에는 저촉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위장전입은 2005년 이후에 2번 이상 했을 때만 공직에 배제한다는 기준인데요. <br> <br>문제는 이 기준을 조 후보자 주관 하래 만들어졌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황하람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1999년 부산 해운대구에 살며 울산대 교수로 근무했던 조국 후보자. <br><br>그해 10월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로 8살이던 딸과 함께 주소를 옮겼습니다. <br> <br>서울에서 울산까지 통근이 어려운 만큼, 위장전입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[부동산 관계자] <br>"투기 아니면 학군이죠 거의. 어떤 것이든 이득을 보려고 하는 거죠. 안 그러면 그렇게 할 이유가 없잖아요. 엄청 번거로운 일이거든요." <br><br>조 후보자 측은 7대 인사 배제 원칙에 해당되지 않아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7대 인사 배제 원칙에서는 위장 전입의 경우 2005년 7월 이후 2회 이상일 경우만 공직 후보자에서 배제하도록 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그런데 이 원칙은 2017년 조 후보자가 청와대 민정수석 때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조 후보자가 '맞춤형 셀프 기준'을 만들었다며 의혹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[여상규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자신은 인사 배제 원칙에서 빠져나가는 얕은 꾀를 부리는 것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게 됐는데, '내로남불'식의 기준을 임의로 만든 것 아닌가." <br> <br>앞서 2010년 이명박 정부 시절, 조 후보자는 기고문에서 장관 후보자들의 위장 전입을 비판하며 "위장 전입이 시민들의 마음을 후벼 판다”고 말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황인석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