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조국 후보자 가족의 사모펀드 투자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는데요. <br> <br>정치부 김성진 차장과 좀 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질문1) 조국 후보가 가족이 재산의 1/5을 투자한 사모펀드에 대해 추가로 확인된 것 있습니까? <br><br>'블루코어밸류업 1호’란 펀드인데 실제 운영규모는 당초 알려진 100억 원이 아닌 20억 이하로 확인됐는데 정확한 금액은 아직 모릅니다. <br><br>조국 후보자 가족이 10억5천만 원을 투자한 만큼 이 펀드의 대부분을 조 후보자 가족이 차진한 셈인데요. <br> <br>사실상 가족형 펀드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<br> <br>조 후보자 가족이 중심이 된 이 펀드는 경영 참여형 펀드입니다. <br> <br>경영에 참여하기 위해 투자하는 것인데요. 대상 기업의 지분을 10% 이상 보유해야 합니다. <br><br>질문 2) 그래서 이 펀드 어디에 투자했고 수익은 냈습니까? <br> <br>펀드 운용사 대표는 “투자 대상을 밝힐 수 없지만 현재 마이너스 수익률”이라고 밝혔고 “현 상태로 펀드를 청산 중”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경영참여펀드는 기업 가치를 올리는 작업이 필요한 만큼 보통 5년 이상 장기 투자가 이뤄집니다. <br> <br>그런데 2년 만에 손해만 보고 청산하는 것은 흔한 일은 아닙니다. <br> <br>한마디로 본전도 못 찾고 지금 정리하고 있는데 펀드 구성원, 즉 조 후보자 가족이 동의한 겁니다. <br><br>질문3) 그런데 가족형 펀드가 문제되나요? <br><br>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습니다. <br> <br>다만 가족끼리 펀드를 구성하다 보니 어떻게 운용하고 수익을 배분할지 임의로 쉽게 정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때문에 업계에서는 돈 있는 중소기업 오너들이 증여 목적으로 가족 펀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합니다. <br><br>쉽게 설명하면 거액을 넣은 부모가 도중에 펀드 계약을 해지하면 부모가 얻은 수익의 상당액이 펀드에 남아 있는 자녀에게 할당됩니다. <br> <br>자연스럽게 이익의 증여가 이뤄지는 셈이지요. <br> <br>또는 아예 자녀에게 수익이 많이 할당되도록 펀드 약정을 맺을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배당 수익에 대한 세금은 내지만 증여세보다는 훨씬 적기 때문에 부유층에서 쓰는 방법입니다. <br> <br>어제 조국 후보자는 "투자는 합법적으로 이뤄졌고 위법한 부분은 없다"고 밝혔는데 이런 부분에 대한 해명도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질문4) 운용사가 투자 내용을 밝힐 의무는 없지만 조국 후보자는 달라야 하는 것 아닙니까? <br> <br>어제는 청문회 준비단을 통해 짧게 입장문을 냈지만 오늘은 청문회에서 밝히겠다고 언급 자체를 피했습니다. <br> <br>이틀 전 사노맹 논란에 대해 적극 해명하던 것과는 180도 다른 모습입니다. <br> <br>[조국 / 법무부 장관 후보자 (이틀 전)] <br>20대 청년 조국, 부족하고 미흡했습니다. 그러나 뜨거운 심장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의 아픔과 같이 가고자했습니다. <br> <br>[조국 / 법무부 장관 후보자 (오늘)] <br>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국회에 가서 소상하고 진실하게 밝히겠습니다. <br> <br>재산 형성 과정의 문제는 청문회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납듭 할 수 있게 수시로 설명하고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