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금 손실 우려가 있는 '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' 판매액이 8천2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독일 국채 금리 연계 상품은 손실률이 95%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. <br /> <br />금융감독원은 상품을 판매한 금융사에 대한 현장조사를 벌여 불완전판매 여부를 확인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제가 된 상품은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인 DLF와 DLS입니다. <br /> <br />투자 국가 국채 금리가 일정 범위에 머무르면 이익을 주고, 떨어지면 원금손실을 보는 상품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세계 경제가 불안한 모습을 보여 금리를 낮추면서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. <br /> <br />금융감독원 확인 결과, 이 상품은 모두 8천224억 원어치나 팔렸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은행이 4천억여 원으로 가장 많았고 KEB하나은행, 국민은행이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판매액의 99%가 은행을 통해 판매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개인투자자 3천6백여 명이 투자한 돈이 7천3백억 원, 전체의 90%나 됩니다. <br /> <br />한 사람이 2억 원가량 투자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영국과 미국 금리 연계상품의 경우 판매액 85%가 손실 구간에 진입했고, 지금 금리 수준이 만기까지 이어지면 손실액이 3천3백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독일 국채 금리 연계상품은 상황이 더 좋지 않은데, 투자 원금 천200억 원 대부분을 날릴 처지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심각해지자, 금감원은 상품 판매 모든 과정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사에 대한 특별검사를 벌여 불완전 판매 여부를 확인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원금손실 설명을 충분히 했는지가 쟁점입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: 과거 키코 사태와 같이 은행이라는 특성상 금융기관 이용자들이 원금 보장이 있을 것으로 오인했을 가능성에 대한 부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이와 함께 민원을 제기한 고객들에 대한 현장 조사도 진행해 불완전판매가 확인되면, 분쟁에 대한 조정도 함께 진행한다는 방침인데, 조사 결과에 따라 파장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백종규[jongkyu87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81916020055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