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멸종위기에 놓인 바다거북입니다. <br> <br>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구조한 바다거북을 치료해 다시 방류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최근 방류한 바다거북 이동 경로를 추적해 보니 일부가 다른 나라에서 겨울을 난 뒤 우리나라로 돌아온 사실이 처음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바다거북이 다시 돌아온 이유 김남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백사장에 풀어놓은 바다거북들이 엉금엉금 바다로 기어갑니다. <br><br>육지에서는 느린 걸음이었지만, 바다에 닿는 순간 거센 파도를 뚫고 힘차게 헤엄쳐 나갑니다. <br> <br>2009년 제주바다에서 구조돼 치료를 받았던 푸른바다거북이 자연으로 돌아간 겁니다. <br> <br>최근 연안 바다가 버려진 플라스틱으로 오염돼 산란지가 줄면서 바다거북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. <br> <br>해양수산부는 2012년부터 멸종 위기 바다거북 4종을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방류한 바다거북의 이동 경로를 살펴봤더니 추적 발신기를 단 11마리 중 3마리가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를 오가며 서식하는 사실이 처음 확인됐습니다. <br><br>바다거북은 주로 우리나라 남해안에 살다가 추운 10월쯤 따뜻한 일본, 중국 해역으로 남하해 겨울을 보내고 4~5월에 돌아왔습니다.<br> <br>[명노현 /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]<br>"바다거북에게 우리나라 연안 생태계가 아주 유용한 서식지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저희는 보고 있습니다." <br> <br>해수부는 구조한 바다거북 뿐 아니라 인공 번식시킨 새끼 바다거북도 방류해왔는데 2015년부터 이렇게 방류한 바다거북이 116마리에 달합니다. <br> <br>한편, 오늘 포항 앞바다에서 죽은 푸른 바다거북이 발견됐는데,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환경 오염과 관련이 있는지 구체적 사인을 조사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