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, 이른바 지소미아 연장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시한을 이틀 앞둔 내일 정부가 최종 결론을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협정 파기보다는 연장 결정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한일 갈등 국면의 변곡점이 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신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베이징에서 열린 한일 외교 장관 회담에서 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 연장 여부를 먼저 물은 것은 일본 측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강경화 장관은 여전히 검토 중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표명했다고 외교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내일 저녁 귀국하는 강 장관은 고노 외무상이 전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청와대에도 서면 보고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내일 오후 열리는 국가안전보장회의, NSC 상임위 정례회의에서 지소미아 연장 여부에 대한 최종적인 경우의 수를 논의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상임위 직후 대통령 재가를 거쳐 발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소미아는 오는 24일까지 한일 양국이 파기를 선언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1년 연장됩니다. <br /> <br />연장과 파기를 놓고 마지막까지 정부의 고민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조 / 청와대 정책실장 (방송기자클럽 토론회) : 한국을 신뢰할 수 없다고 하는 나라와 민감한 군사정보를 교류하는 것이 맞는가라고 하는 측면에서는 마지막 순간까지 고민을 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릴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[정경두 / 국방부장관 (국회 국방위원회) : 과거 (북한이) 핵실험을 했을 경우나 이럴 경우에 우리가 캐치 못한 정보를 받은 적도 있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협정 파기보다는 협정을 유지하되 실질적 정보 공유 활동은 줄이는 절충안이 선택될 거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28일 일본의 백색국가 배제조치 시행일을 앞두고 이뤄지는 이번 결정이 한일 갈등 국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82122193415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