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청와대는 윤석열 검찰총장을 전격적으로 발탁하며,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와 함께 검찰개혁을 완수하길 바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윤 총장의 1호 수사 대상이 조국 후보자가 됐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총장의 트레이드 마크. '살아 있는 권력 수사'가 다시 시작된 것일까요. <br> <br>김철웅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<br>[윤석열 / 검찰총장 (2013년)] <br>"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말씀을 드립니다." <br> <br>정치 권력의 수사 개입을 막아야 한다는 소신을 밝혀온 윤석열 검찰총장이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섰습니다. <br> <br>직전까지 사정을 총괄하던 대통령 민정수석을 지냈고 취임하면 검찰을 감독하는 법무부장관 후보자를 수사 선상에 올린 겁니다. <br> <br>오늘 전방위 압수수색을 통한 강제 수사 돌입, 특수2부로의 수사팀 교체도 윤 총장의 결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검찰 관계자는 "윤 총장이 대검 주요 참모들의 건의를 받은 직후 결단을 내렸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또 다른 관계자는 "국민적 의혹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권력이라고 머뭇거렸다가는 후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된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과거 '국정 농단' 의혹 초기에 형사 8부에 사건을 배당했다가 뒤늦게 특별수사본부를 꾸려 '수사 의지가 없다'고 비판 받았던 전례 등도 감안했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검찰 내부에선 비리 의혹을 받는 조 후보자가 검찰 개혁을 거론하는게 어불성설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원칙 수사라는 명분을 앞세워 윤 총장이 "조 후보자 대신 검찰 조직을 택했다"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woong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