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천5백여 명의 피해자, 이 가운데 천4백여 명의 사망자를 낸 가습기 살균제 참사. <br /> <br />8년 만에 제조·판매 기업 관계자들과 전·현직 관료들을 상대로 한 청문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업체 측은 뒤늦게 사과했지만, 주요 의혹에 대해선 모르쇠로 일관했습니다. <br /> <br />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습기 살균제 사태 8년 만에 열린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진상 규명 청문회. <br /> <br />후유증으로 폐 질환을 앓아 인공호흡기를 착용한 피해자의 가족은 울분을 토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태종 /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남편 : (병원생활이) 만 11년이 끝나고 12년 차에 들어섰습니다. 이 사람 인공호흡기 없이는 단 1분도 숨을 쉴 수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청문회 첫째 날 대상은 사망자 12명과 부상자 87명을 낸 '가습기 메이트'. <br /> <br />핵심은 제품 개발 당시 유해성 검증을 왜 제대로 안 했는가였습니다. <br /> <br />원료를 공급한 SK케미칼은 유구무언. <br /> <br />중계 수신본 #2, 14'03"~ 14'11 / 15'20~ <br /> <br />[최상락 / 유공(현 SK케미칼) 연구위원 : (일종의 사기죠. 흡입 독성 실험 착수도 전에 안전하다고 해서… 많은 돈을 들여서 한 좋은 제품이라고 선전하려 거짓말한 둘 중 하나겠죠?) ….] <br /> <br />판매를 맡은 애경은 모르쇠로 일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안용찬 / 전 애경 대표 : 저는 전혀 기억이 없는 내용이고요. 위원장님께 말씀 드리지만, 제가 지금 재판 중이라 재판과 관련된 사안들에 대해 말씀드리기 곤란합니다.] <br /> <br />애경과 SK케미칼이 검찰 조사에 맞서 증거 인멸을 논의하고 국회의 특별법 제정을 막으려 관련 대책을 논의한 내부 회의록도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증인으로 채택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장영신 애경그룹 회장은 끝내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참석한 임원들은 뒤늦은 사과의 말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창원 / 전 SK케미칼 대표이사 : 다시 한 번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서 고통받고 계시는 피해자분들과 가족분들께 진심 어린 사과를 드립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구체적인 재발방지대책이나 피해 보상 지원책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해성 심사를 20년 넘게 안 하고, 고발을 지체해 공소시효를 넘기게 한 환경부와 공정위 관계자들에 대한 질책도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홍성칠 / 청문회 신문위원 : 제품은 이미 2016년 8월 31일 중단이 됐습니다. 처분시한이 8월 말로 만료되는데 차후에 유독성, 인과관계가 입증된 다음에 위법성을 판단한다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82721173710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