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바다거북 14마리가 제주 바다로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그물 등에 감겨 구조되거나 인공부화로 탄생한 새끼 거북도 행렬에 동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종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다거북들이 지느러미를 움직이며 앞으로 나아갑니다. <br /> <br />고향 냄새를 맡은 듯 바다를 향해 느리지만 힘차게 발걸음을 옮깁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바다로 돌아간 바다거북은 모두 14마리. <br /> <br />이 가운데 4마리는 그물 등에 감겨 표류하다 구조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구조된 거북들은 길게는 1년 3개월 정도 재활 치료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한동진 /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 : 가장 외상이 심했던 앞 지느러미 부분이 회복될 수 있도록 주력했고, 항생제와 영양제로 건강회복에 노력했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목적으로 반입된 거북과 인공부화된 새끼 거북도 바다로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 바다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바다거북을 방류하기 시작한 것은 2년 전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바다거북의 산란이 여러 차례 확인된 데다 먹이가 풍부하고 태평양으로 이동이 쉬워 생존에 적합한 곳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동근 / 제주도 해양수산국장 : 제주도 남쪽 색달 해변이 과거부터 거북이 산란장입니다. 거북이는 회귀성이 강해 산란할 때는 방류한 곳으로 올라옵니다.] <br /> <br />이번에 방류되는 바다거북에는 추적장치 또는 개체 인식표를 부착해 이동 경로를 파악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해양 오염과 쓰레기 등으로 서식지가 사라지면서 급격히 줄고 있는 바다거북. <br /> <br />국내 산란지 회복을 위해 방류된 바다거북들이 다시 제주 바다로 돌아와 산란하는 광경을 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유종민[yooj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82820370906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