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과 일본이 지소미아 종료 결정 이후 처음으로 양국 외교부 국장급 협의를 열고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협의에서도 양측은 현격한 입장 차이를 재확인했지만, 외교 당국 간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전망을 되살렸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요소가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과 일본의 국장급 협의에는 우리 외교부에서 일본 문제를 담당하는 김정한 아시아태평양 국장과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한 국장은 3시간 가까운 공식, 비공식 협의에서 일본의 부당한 수출 규제 철회를 촉구하고 이를 위해 한일 통상 당국 간 무조건 대화에 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나스기 국장은 강제징용 문제와 지소미아 즉 한일 군사정보 보호 협정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해 한국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문재인 대통령 연설과 관련해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억지주장도 거듭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양측이 팽팽하게 자국 입장을 내세우면서 지소미아 종료 결정 이후 처음으로 열린 한일 당국자 협의에서는 별다른 진전이 도출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, 외교 당국 간 협의가 진행된 것 자체는 긍정적인 요소가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서로 상대방 입장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해서 서로 고도로 중시하는 요소와 양보할 수 있는 요소를 구분할 수 있는 자료가 많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일본에서 국내 정치 맥락에서 한국과의 대결을 자극해온 총리실과 경제산업성 대신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됐던 일본 외무성이 나선 것은 문제 해결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키우는 요소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지소미아 종료와 관련해 미국이 강력하게 불쾌감을 표출하면서 우리 정부는 물론 일본에 대해서도 문제 해결을 압박하는 조건도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82922101427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