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.5%로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두 번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하는 데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되는데요, <br /> <br />다만 10월 이후에는 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여지를 열어뒀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태현 기자! <br /> 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유지한 배경은 무엇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이 오늘 오전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.5% 수준에서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에는 전격적으로 금리를 0.25%포인트 낮췄는데요, <br /> <br />두 달 연속 금리를 낮추기에는 부담이 컸던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이주열 총재는 회의가 끝난 뒤 투자와 수출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, 소비 증가세도 약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경제 성장세의 둔화 흐름이 지속했다는 건데요, <br /> <br />특히 지난달에 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는 점을 고려하면, 소비마저도 부진해지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또, 세계 교역이 위축하면서 전반적인 성장세가 둔화했다며, <br /> <br />미·중 무역 분쟁 등 대외 환경 악화로 성장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도 금리를 동결한 것은 최근 부동산 가격과 가계 부채가 들썩이고 있다는 점과 부관하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, 두 번 연속 인하를 단행해 금리가 역대 최저수준인 연 1.25%까지 떨어지면, <br /> <br />앞으로 경제 변수에 대응할 여력이 줄어든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하지만 시장에선 올해 안에 추가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보고 있는데, 전망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서 전해드린 것과 같이 국내외 경제 환경이 심상치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투자와 수출, 소비가 모두 부진하고, 회복의 기미도 찾기 어려운데요, <br /> <br />따라서 조금이라도 경기에 활력을 주기 위해 조만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주열 총재 역시 2.2%로 예상한 올해 성장률에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는데요, <br /> <br />경제지표를 종합적으로 보고 통화 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 추가 인하의 가능성을 열어둔 셈입니다. <br /> <br />또, 이번 회의에서는 금통위원 7명 가운데 2명이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일반적으로 소수의견은 조만간 금리를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. <br /> <br />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83014084998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