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靑 “주한미군 기지 26곳 조기반환 추진…美 압박카드 아니다”

2019-08-31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<br> <br>청와대가 전국 26곳에 위치한 주한 미군기지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돌려 받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특히 용산기지 반환 절차는 올해 안에 시작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<br>이례적으로 조기 반환 방침을 밝힌 건데요. <br> <br>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앞둔 전략이라는 시각도 나옵니다. <br> <br>첫 소식, 최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도심에 위치한 '용산 미군기지'입니다. <br> <br>앞서 이전한 미8군과 주한미군사에 이어 2021년쯤에는 한미연합사도 완전히 이곳을 떠나 평택 미군기지로 옮겨갈 예정입니다. <br><br>전국 80개 미군기지 가운데 54개가 평택으로 이전하고 26개가 남은 상황.<br> <br>청와대는 용산기지 반환 절차를 올해 안에 시작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<br>2008년에 반환받기로 했던 원주와 인천기지, 시점을 협상중인 동두천 기지를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나머지 미군기지도 최대한 조기 반환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.<br> <br>2002년 한미 양국의 반환 결정 이후 10여년이 지난 문제를 다시 꺼낸 것을 두고 방위비 분담금 협상의 카드로 쓰려는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기지를 반환할 때 발생하는 환경오염 치유비를 누가 부담하느냐를 두고 정부가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[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] <br>"문제가 뭐냐면 기지 반환 과정에서 환경 치유 문제인데 그게 상당히 민감한 사안이에요. 그런 부분이 미국이 부담을 갖는거고" <br> <br>청와대는 "반환이 장기간 지연돼 사회 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했다"며 "정해진 절차를 진행하는 것일 뿐 미국을 압박하려는 게 아니다"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오성규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