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은 얼마 전, 훈장을 받고도 나라에서 매달 주는 보상금을 오랫동안 받지 못한 독립 유공자 가족의 사연을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를 해보니 비슷한 사례가 더 있었지만, 정작 정부는 이런 후손이 정확히 얼마나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 강점기에 만든 '배천 조 씨' 족보입니다. <br /> <br />용 '용'자에 구슬 '주' 자를 쓰는 조용주 지사. <br /> <br />일제 강점기 때, 만주에 있는 '배달학교'에서 할아버지와 함께 민족 교육을 하다 일본군에 잡혀 순국한 독립 유공자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자료를 통해 공적을 확인하면서 지난 1998년에 훈장 수여를 결정했지만, 정작 가족에게 전달된 건 19년이 지난 뒤였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확인한 독립운동 자료와 족보 등에 적힌 이름의 마지막 한자가 각기 달라서 빚어진 혼선으로 보이는데, 민간 학자가 행정 오류를 지적하면서 후손을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할아버지가 유공자였다는 사실도 그제야 알고 보상금을 신청했는데, 일찍 확인만 됐더라면 16년이나 더 빨리 받을 수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조계숙 / 조용주 지사 손녀 : 나라에서 (후손을) 찾아줘야 하는 거를 그분 아니었으면 저희도 몰랐을 거잖아요. 그렇죠? 그래서 (국가가) 좀 너무 등한시하다 생각은 하긴 했죠.] <br /> <br />의병을 이끌며 일본군에 맞서 싸운 민용호 지사 후손 역시 보상금을 10년 넘게 못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법이 개정돼 지급 대상이 2대에서 3대, 그러니까 아들, 딸에서 손자, 손녀까지 확대되면서 보상금을 받을 수 있었는데 제대로 안내를 못 받은 겁니다. <br /> <br />[민정아 / 민용호 지사 손녀(지난달 27일 보도) : 왜 신청을 이제 하셨어요. 그렇게 물어보니까. 저도 그럼 당신들은 보훈처 월급 받으면서 알려줄 의무도 있지 않으냐 이러니까 법으로 그렇게 안 돼 있으니까, 법으로 싸우라고….] <br /> <br />훈장을 줄 때 보상금도 자동으로 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, 훈장과 보상금은 따로 분리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후손이 직접 유공자 신청을 하기도 하지만, 국가가 사료 등을 뒤져 서훈을 주기도 하는데 후손을 못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그럴 경우 훈장은 국가가 보관하고 보상금도 후손이 직접 신청하기 전엔 지급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행정적인 착오나 법 개정에 대한 안내가 제대로 안 돼 보상금을 제때 받지 못한 후손이 분명 존재하는데도, 정작 보훈처는 이런 가족이 얼마나 있는지조차 알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0105003801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