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추석 명절 ‘불조심’…전 부치다가 불나면 물 뿌리지 말아야

2019-09-04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다가오는 추석, 전을 부치거나 튀김을 하실 때 조심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. <br> <br>요리를 하다 불이 났다고 물을 뿌리면 더 위험합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의 설명 잘 들어보시죠. <br><br>[리포트]<br>식용유가 있는 후라이팬을 10분 정도 가열해봤습니다. <br> <br>온도가 380도에 이르자 불이 붙습니다. <br> <br>불을 끄기 위해 물을 뿌리니 불길은 오히려 2미터 넘게 치솟고 사방으로 기름이 튀어버립니다. <br> <br>주방에 흔히 있는 케첩과 세제도 마찬가지. <br> <br>불길은 더 활활 타오릅니다. <br> <br>[김홍식 / 국립소방연구원 공업연구관] <br>"(물과 식용유의)온도 차이에 의해서 폭발적으로 화재가 커지고. 실내에서 저런 현상이 일어난다면 선반이나 천장에 불이 붙어서…" <br><br>배추나 상추 같이 잎이 넓은 채소를 한꺼번에 집어 넣거나 젖은 수건으로 프라이팬을 덮어버리는 방법이 오히려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전이나 튀김을 하다 불이 나면 일반 소화기도 무용지물입니다. <br> <br>불길이 잠시 약해지더니 다시 타오릅니다. <br><br>"이렇게 식용유로 인한 화재가 나면 일반 소화기가 아닌 강화액이 들어있는 특수 소화기를 사용해야 불을 완전히 끌 수 있습니다." <br><br>지난 2017년부터 강화액 특수 소화기를 의무로 비치해야 하는 음식점이나 호텔과 달리, 일반 가정에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. <br><br>지난 3년간, 음식조리 화재 1만 건 중 20%인 2천 건이 식용유 과열로 인한 화재였습니다. <br><br>부침이나 튀김요리를 할 때는 잠시라도 자리를 비우지 말고 불이 나더라도 침착하게 초기대응을 하는 게 중요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이혜리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