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어제 송환법 철회를 공식 선언하면서 홍콩 시위가 사태가 분수령을 맞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환법을 전격 철회한 데는 급속히 가라앉고 있는 홍콩 경제에 대한 우려와 코앞으로 다가온 신중국 건국 70주년에 대한 중국 정부의 부담 등이 작용했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박희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홍콩 시위가 격렬해지자 캐리 람 행정장관은 지난 7월 9일 기자회견을 열어 송환법의 사망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캐리 람 / 홍콩 행정장관(7월 9일) : 거듭 말씀드리자면 (송환법 재추진) 계획은 없습니다. 송환법은 죽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철폐 또는 철회라는 용어를 쓰길 거부했고 이에 홍콩 시민들은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비난하며 시위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두 달 가까이 버티던 캐리 람이 고집을 꺾고 송환법 철회를 공식 선언한 이유는 무엇일까? <br /> <br />먼저 홍콩 경제가 자칫하다간 회복 불능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시위가 격화되면서 금융과 관광업, 소매업 등 전 분야에 걸쳐 홍콩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급기야 홍콩 정부는 최근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애초 2∼3%에서 0∼1%로 대폭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 1일 신중국 건국 7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준비 중인 중국 정부의 부담도 한 요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홍콩 시위가 계속될 경우 G2로 부상한 중국의 위용을 과시하려는 목적이 퇴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미국과 유럽 등 서방국가의 압력도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홍콩 사태가 악화할 경우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에 빌미를 주는 걸 우려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8월 18일) : 중국이 홍콩에서 무력을 사용한다면, 또다른 '톈안먼사건'이 될 텐데, 무역협상은 매우 힘들어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송환법 철회에 대해 민주 진영은 너무 늦었다는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[조슈아 웡 / 데모시스토당 대표 : 시위는 계속될 것입니다. 홍콩 사람들은 홍콩이 민주주의와 자유를 회복할 때까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홍콩이 안정을 되찾을 수 있을지 여부는 주말에 예정된 집회의 규모와 열기를 보면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희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90504204433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