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평안남도 개천에서 동해쪽으로 발사체 2발을 쐈습니다. <br /> <br />사거리 330km로 내륙을 가로질러 표적섬 명중 시험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미국에 대화 제의에 나선 직후에 나온 군사 행동이라 의도가 무엇인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침 6시 53분과 7시 12분, 북한 평안남도 개천에서 발사체 2발이 날아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비행 거리는 330km로 내륙을 가로질러 동해 표적섬 명중 시험을 진행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우리 군의 이번 공식 발표엔 예전과 달리 비행 고도나 속도 등이 빠져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'지소미아(GSOMIA)' 종료 선언 뒤, 한미 간 정보 공유에 차질이 빚어진 것 아니냐는 질문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준락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: (한미 공조체계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들 정도로 오늘 문자 내용이 굉장히 좀 부실했다…) 좀 더 정밀하게 분석 중에 있기 때문에 / 비행 거리까지만 말씀드린 겁니다.] <br /> <br />이번 발사체는 북한이 최근 선보인 새로운 무기 4종류 가운데 하나일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북한의 신무기 개발 절차로 볼 때, 앞서 동해안에서 2차례 시험 발사로 안정성이 입증된 '북한판 에이태킴스'를 서쪽 내륙에서 실제 사거리로 발사해 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4일 쏜 '초대형 방사포'일 수도 있는데, 아직 시험 발사를 1차례밖에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륙을 가로질러 쏘기엔 이르다는 평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머지 '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'는 사거리가 250km 안팎에 불과하고, '북한판 이스칸데르'의 경우 이미 해 본 실험을 반복할 필요성이 낮습니다. <br /> <br />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의 대화 제안 직후에 이뤄진 이번 발사는 미국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김동엽 /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 : 올해 내에 북미 간에 뭔가 진전이 없다면, 이것 보다 더 한 것을 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것으로 그렇다면 미 대선 레이스 기간 중에 트럼프 대통령에 상당 부분 부담이 될 수 있다는….] <br /> <br />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잇따른 군사 행동이 한반도 긴장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즉각 중단하라고 재차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91016023841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