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이 동남아 순방 귀국 후 첫 외부 일정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소재·부품·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강조하며, 한일 관계 때문만이 아니라 우리 경제 100년의 기틀을 세우겠다고 다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임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복잡한 설비가 연구실에 가득 차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의 실리콘 반도체를 넘어서는 차세대 반도체를 개발하는 연구소를 문재인 대통령이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준연 /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: 극한 환경의 반도체, 군사용 반도체를 여기서 만들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이 공정에서도 예를 들면 일본의 부품 소재가 꼭 필요합니까?] <br /> <br />[장준연 /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: 여기에는 지금 일본에서 수입해야 할 그런 재료가 필요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수소차를 타고 온 문 대통령은 바로 올해 두 번째 현장 국무회의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조국 장관을 포함해 새로 임명장을 받은 국무위원 7명도 모두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아무도 흔들 수 없는 강한 경제를 만들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과학기술 현장을 찾았다며 말문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일본의 무역 보복이 집중되고 있는 소재·부품·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소재·부품·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제조업을 혁신하고, 제조강국으로 재도약하는 길입니다. 한일관계 차원을 뛰어넘어 한국 경제 100년의 기틀을 세우는 일입니다.] <br /> <br />이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는 산업생태계를 만들어, 소재·부품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·중견기업을 키우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향후 3년 동안 소재·부품·장비 자립화 예산 5조 원을 투입하고, 기업 협력 관계 구축과 실증 양산 '테스트 베드' 조성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이어 소재·부품 대응 지원센터도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한 실제 피해가 아직은 없지만 긴장을 늦추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한일 간의 문제를 넘어서서 글로벌한 차원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거기까지도 가면 좋겠다 싶거든요.] <br /> <br />[강명수 / 소재·부품 수급 대응지원센터장 : 산업 강국, 소재 강국으로 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하고, 거기에 동참했다는 사명감을 갖고 자랑스럽게 근무하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우여곡절 끝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91017414662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