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시설 피격과 관련해 군사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미국에서는 이란이 드론 공격에 미사일 공격까지 가했다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양국 간의 갈등이 한층 심각한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승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현지 시각 15일 사우디 석유 시설 공격과 관련해 트윗 글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조율이 필요하다는 전제로 '장전 완료'라는 표현까지 사용하며 군사 행동을 강하게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사우디가 드론 공격의 범인을 확증할 경우에 대비해 언제든 군사 행동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트윗 글을 쓰기 전에 국가안보회의도 소집했다는 소식을 속보로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안보회의에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,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 등이 참석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위성사진 판독 등 각종 정보를 통한 자체 판단으로 사우디 공격 배후로 이란을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은 공격 배후설을 강력부인하고 있지만, 미국은 관련 증거를 공개하면서 군사행동 명분을 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의 군사행동이 최종 단계에서 철회된 사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6월 이란이 영공 침범을 이유로 미군 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 1대를 격추하자 미국은 즉각 보복 공격을 계획했지만,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는 보고를 받고 작전 실행 10분 전에 중단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이란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해 이란 핵 합의에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자, 이란이 지난 5월부터 핵 합의 일부를 이행하지 않으면서 강 대 강 대치를 이어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승희[jos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91618490918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