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국내 첫 발생을 공식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발생은 했지만 조기 차단과 방역으로 확산을 막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관련 조치, 어떻게 진행되는지 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김정회 기자! <br /> <br />정부의 조기 방역대책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단 초동방역으로 초동방역팀이 현장에 투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발생 농장주와 가축, 차량, 외부인 출입을 통제했고 거점 소독시설 16곳과 통제 초소 15곳 운영하면서 축산 차량 소독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인과 동시에 위기 경보단계를 최고 수준인 '심각' 단계로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또 오전 6시 반부터 48시간 동안 전국 돼지농장과 도축장, 사료 공장, 출입 차량에 대해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양돈농장 6,300곳에 대해선 의심 증상이 있는지 면밀한 관찰에 나섰고요. <br /> <br />돼지 사료로 쓰이는 남은 음식 반입도 막았고 접경지역 야생 멧돼지 개체 수도 조절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방역 상황실도 꾸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관련 내용에 대해 브리핑도 했는데 원인이 뭔지 나왔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인은 아직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일단 해당 농장에 창문이 없고 농장주나 외국인 직원들이 최근 3개월간 해외를 다녀온 적도 없었던 거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돼지들에게 잔반을 먹이지도 않았다고 하고요. <br /> <br />감염 경로로 의심될 만한 부분에서 상당히 비켜나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원인 규명도 어렵고 규명까지도 상당히 시간이 걸릴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아프리카돼지열병, 어떤 병이고 어떻게 전파가 되는지도 좀 알아보죠. <br /> <br />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을지도 궁금한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프리카돼지열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고 열이 동반되는 돼지 전염병입니다. <br /> <br />폐사율이 높아 발생 즉시 국제수역사무국에 보고해야 하고 국내에선 가축전염병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파 경로는 감염된 돼지나 돼지 생산물을 통해서, 또는 오염된 남은 음식물을 돼지에게 주었거나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식으로 감염되면 집단 폐사로 이어지는데 아직 백신이나 치료 약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잠복기는 3일에서 최장 21일인데 사람에 전염되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해 중국과 베트남, 미얀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1711545014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