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차현주 앵커 <br />■ 출연 : 우희종 /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이번에는 전문가 연결해 자세한 상황 들어보겠습니다. 서울대 수의학과 우희종 교수 연결돼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결국 의심신고가 접수됐던 연천 농가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이 됐습니다. 하루 만에 확진 농가가 2곳으로 는 건데 지금 전국 확산까지도 우려할 수 있는 상황인가요? <br /> <br />[우희종] <br />글쎄요. 오히려 어제 파주에서 발생했던 농장이 방역을 나름대로 잘한 상태에서 발생한 상황이라는 것을 전제한다면 이번 연천에서 확진이 된 것도 그렇게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. 어찌 보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던 거고요. 그 이유는 그렇게 어제 확진된 농장처럼 잘 관리된 농장에서 질병이 발생했다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사람들은 사실 이의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가장 확률이 높은 건 접경지역으로서 북한에서 유래됐다고 보는 게 타당하고요. <br /> <br />그랬을 적에 단순히 멧돼지가 왔을 수 있지만 사실 북한 전역은 이 질병이 확산됐다고 보는 게 타당합니다. 북한의 방역 체제가 사실 좋은 건 아니니까요. 그랬을 때 일전에 폭풍이 지나가면서 그 지역의 어떤 공기 상태나 강우, 비 내리는 이런 것 등이 많이 남과 북에 걸쳐서 발생한 거거든요. <br /> <br />많은 분들이 태풍이 왔을 때 떠내려온다 정도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빗물에 의해서 다른 지역의 잔존물들이 얼마든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어제 발생한 이후로 향후 일주일 내지 열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고 보고요. <br /> <br />그랬을 때 오늘 확진된 연천 농장 사례도 그러한 맥락에서 바라보고 접경지역에 대한 차단, 이동에 대한 금지나 이런 부분을 더욱 강화하고 감시망을 늦추지 않아야 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바이러스가 북쪽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다, 이렇게 조심스럽게 짚어주셨는데 그렇다면 북한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됐을 경우에는 지금 파주와 연천 말고도 김포라든지 강화 같은 이런 다른 인접 지역도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겠네요? <br /> <br />[우희종] <br />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. 그런데 태풍의 경로라든지 이런 부분을 동시에 고려해서 우선 지역을 선정해야 되겠죠. 그래서 그러한 어떤 예찰이나 감독, 감시 부분에 대해서 우리가 어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1809134961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