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폭우 동반 태풍에 산사태 위험↑...대비법은? / YTN

2019-09-21 19 Dailymotion

이번 태풍은 많은 비를 쏟아부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산사태 위험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지, 송세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엄청난 양의 흙더미와 빗물이 도로와 아파트 단지를 덮칩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1년 16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우면산 산사태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10년간 산사태 피해 지역은 한 해 평균 236ha, 축구장 면적의 330배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지금도 산사태 위험을 안고 있는 취약지역은 전국적으로 2만5천 곳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쏟아질 때 더 위험합니다. <br /> <br />[서준표 /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 : 기반암과 토층 사이 공간 이상으로 물이 차게 되면 아무래도 취약한 지역에서는 붕괴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산사태는 순식간에 발생하는 만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대비가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산비탈에서 물이 솟으면 산사태를 의심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나무가 기울어지거나 산울림이 들리는 것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집중호우가 쏟아질 경우 산비탈 아래 사는 주민들은 미리 대피하는 게 안전합니다. <br /> <br />[여운태 / 동부지방산림청 산사태 대응팀장 :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들은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서 미리 대피 장소를 일아 둬야 하고요. 산사태 위험이 커지면 행정기관 안내에 따라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지역별 위험 정도를 알리는 예보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 산사태 정보시스템 또는 스마트산림재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[sh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92117573474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