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경찰이 이춘재를 수사하며 주목하는 부분은 또 있습니다. <br> <br>이춘재가 회사생활을 하면서 출퇴근길로 이용한 곳인데요. <br> <br>이 주변에서 사건들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어서 신선미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이춘재가 경기도 화성의 한 전기회사에 다닌 건 1980년대 말. <br> <br>당시 본적 주소지였던 진안리에 살며 출퇴근을 했습니다. <br> <br>[신선미 기자] <br>"이 도로는 이춘재의 집에서 회사로 통하는 유일한 길인데요. <br> <br>이 길 주변에서만 세 건의 사건이 일어났습니다." <br><br>1,2차 사건 피해자는 집 주변 목초지와 농수로에서 발견됐고, 3번째 피해자는 회사로부터 불과 300m 떨어진 축대에서 암매장된 채 발견됐습니다. <br><br>6차 사건 피해자는 이춘재의 집이 있는 진안리 소재 야산에서 발견됐고, <br> <br>4차 사건도 회사에서 가까운 곳에서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[공정식 /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] <br>"화성이라는 지역 내에서 사체를 유기한 걸 보면 그 범인이 여기에 대한 지리감을 갖고 있다고 봐야 되고, (경찰이) 디테일하게 봤어야 되는데 놓친 부분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." <br> <br>경찰은 1, 2, 3차 사건현장에서 수거된 증거물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을 맡길 계획입니다. <br> <br>감정 결과에 따라 이춘재의 추가 범행이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범행 현장 주변에서 줄곧 살았던 이춘재가 어떻게 경찰의 대대적인 수사망을 빠져나갔는지는 의문입니다. <br> <br>경찰은 이춘재가 당시 수사 선상에 올랐는지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선미입니다. <br> <br>fres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재덕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