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 총회 참석을 위해 출국한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 도착해 3박 5일의 일정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주목되는 일정은 내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인데, 북·미 비핵화 협상 지원과 한미동맹 강화 방안이 중점논의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취임 뒤 세 번째로 UN 총회에 참석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 도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착 당일에는 특별한 외부 일정을 잡지 않고 한미 정상회담과 UN 기조연설 준비에 집중합니다. <br /> <br />한미 정상회담은 내일 열립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북한과 미국이 거의 일곱 달 만에 비핵화 협상을 준비하는 상황이라 관심이 더욱 집중됩니다. <br /> <br />북·미 실무협상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룰 방안을 모색하는 게 회담의 첫 번째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관계자는 하노이 회담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협상안을 만들기 위해 한미 양국이 많은 아이디어를 공유해왔다면서, 지난해 추진됐던 종전선언 역시 평화 체제로 가는 중요한 스텝이고, 철 지난 프레임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(지난 16일) : 남북미 정상 간의 변함없는 신뢰와 평화에 대한 의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키는 힘이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한일 군사정보 보호협정 종료 이후 커지고 있는 한미동맹 균열 우려를 털어내는 것도 문 대통령의 숙제입니다. <br /> <br />방위비 분담금, 전시작전권 전환, 한미일 공조 강화, 한일갈등 해결 등 민감한 현안 모두가 한미 동맹 강화 측면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관계자는 동맹과 흔들릴 수 없는 협조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남북 대화를 유지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고도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을 만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지도 당부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 UN 총회 참석 때마다 있었던 아베 총리와의 만남은 예정돼 있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두 달 넘게 이어진 한일 갈등을 푸는 문제는 이번은 아니고 연말로 추진되고 있는 한·중·일 정상회담이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 협상의 고비마다 문 대통령은 남북, 한미, 남·북·미 정상 회동 등을 통해 새로운 동력을 만들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3차 북·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발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92307180890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