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제모습 찾는 '바닷새 정거장'...칠발도 생태계 복원 / YTN

2019-09-29 6 Dailymotion

인간 때문에 생태계가 무너졌던 칠발도의 복원 작업이 제 궤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'바닷새의 정거장'으로 불렸던 이 섬은 이제 새들이 먹고, 쉬고, 번식하는 보금자리의 모습을 조금씩 찾아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류재복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목포에서 배를 타고 백 리 넘게 달려야 볼 수 있는 섬. <br /> <br />바위 봉우리 일곱 개가 삐죽이 고개를 내밀어 '일고바리'란 별명이 붙은 칠발도입니다. <br /> <br />사람은 물론 나무 한 그루 자랄 수 없을 정도로 온통 절벽이지만 오히려 바다 철새들에겐 낙원 같은 곳입니다. <br /> <br />절벽과 바위틈에서 자라는 밀사초가 든든한 보금자리가 돼주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촘촘히 내린 뿌리 아래 둥지에서 바다제비 알과 새끼는 안전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 섬은 얼마 전까지 새들에게 그리 좋은 휴식처가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인 등대 때문에 사람들이 드나들면서 바깥 식물이 묻어 들어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, 마디마디가 튀어나와 '소의 무릎뼈'처럼 생긴 '쇠무릎'이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번식력이 좋아 밀사초를 말려 죽이고 열매가 새의 깃털에 엉겨 붙으면 날갯짓을 못 해 폐사로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국립공원공단이 쇠무릎을 뽑고 밀사초를 심는 복원사업을 시작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송도진 / 국립공원공단 과장 : 2015년까지 한해 바닷새 400마리가 외부에서 유입된 식물로 폐사했지만, 지속적인 번식지 복원으로 2018년 폐사한 새는 2마리로 줄었습니다.] <br /> <br />칠발도에는 바다제비 말고도 조류 50여 종이 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로 여름 철새들이 새끼를 낳고 기른 뒤 가을에 떠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칠발도는 10년 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[김하송 / 고구려대학교 교수 : 첫 성공 사례이며, 앞으로 무인도 생태계 복원 사업에 많은 방향을 제시하고 있고, 문제 해결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공단은 오는 2022년을 목표로 번식지 복원사업을 계속 진행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류재복[jaebogy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2922291515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