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주말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의심 신고는 있었지만, 추가 발병 없이 지나갔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잠복 기간 19일을 고려할 때 첫 확진이 나온 뒤 3주째인 이번 주가 확산 여부를 가름할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 27일 강화군 하점면 돼지농장의 확진 판정 뒤 아직 추가 발생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주말 양주와 충남 홍성군에서 의심 신고 두 건이 있었지만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특히 주말 의심 신고에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 양주는 1차 중점관리지역 6개 시군에 포함되지 않은 곳. <br /> <br />충남 홍성군은 경기, 인천, 강원 중심의 2차 중점관리지역 밖에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확진은 곧 정부의 방역 망 붕괴를 의미했습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홍성은 전국 돼지의 1/5을 기르는 충남에서도 사육 농가가 가장 많아 확진 판정이 나왔다면 지역 경제 붕괴가 우려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현수 / 농식품부 장관 : 홍성의 의심 신고는 음성으로 확진되었습니다. 홍성은 59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는 국내 최대 사육지역이기 때문에 우려가 컸습니다.] <br /> <br />일단 방역 당국과 돼지 농가들은 한숨을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까지 이런 분위기라면 확산도 한풀 꺾일 수 있지 않겠냐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방심은 이릅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돼지열병 잠복기는 4∼19일. <br /> <br />초기 발생지에서 이미 다른 지역으로 바이러스가 퍼졌다면 이번 주 경기 북부나 강화 외 지역에서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방역에 계속 힘쓸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살처분 지역은 태풍에 대비해 시설물과 매몰지 관리를 철저히 하고 태풍이 지나간 뒤 소독작업이 차질 없도록 소독약과 생석회 재고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3022020128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