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2월 말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던 북한과 미국이 오는 4일과 5일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이 우여곡절 끝에 협상 재개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전망도 있지만, 이번 협상에서 진전을 보지 못할 경우 한반도 상황이 오히려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말 하노이에서 담판을 벌였지만, 합의문을 채택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김정은 위원장은 실망감을 보이면서 협상 담당 부서와 대표를 교체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협상 교착은 지난 6월 30일 판문점에서 벌어진 깜짝 정상회동에서 실무 협상 재개가 합의되면서 반전의 계기를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김 위원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요구대로 새로운 접근법에 대해 긍정적으로 발언한 것을 계기로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대북 강경 정책을 주도했던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해고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[트럼프 대통령 : 볼턴은 과거에 해 온 정책이 얼마나 나쁜지 되돌아 봐야 합니다. 아마 '새로운 방법'은 매우 좋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북한과 미국이 어려운 과정을 거쳐 협상 재개에 합의한 점은 이번 협상에서 합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양측 입장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에서 결렬 가능성은 여전하고, 이번에 결렬되면 북미 비핵화 협상은 당분간 열리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감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협상 재개 합의 사실을 발표하면서 장소 등 일정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지 않은 것도 양측의 접근법 차이를 보여주는 만큼 북미 협상과 관련한 긴장감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00202035001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