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외교 성과에 대해 진한 애착을 보이는 대북 문제와 관련해 북한과 미국이 공식 접촉에 들어갔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정작 북미 협상의 최고 결정권자인 트럼프 대통령은 탄핵정국의 늪에 빠져 계속 궁지에 몰리고 있어 협상에 영향을 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조사를 촉발한 이른바 '우크라이나 스캔들' 연루 당국자가 미 의회에 제출한 휴대전화 메시지 파일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이 우크라이나가 트럼프의 정적이자 민주당 대선경선 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에 대한 조사를 약속하도록 설득하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설득을 위해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백악관 방문 연계도 시도하는 것이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스캔들 연루 당국자가 첫 의회 증언을 한데다 문자 메시지까지 공개돼 미 정치권의 탄핵 공방이 더욱 격렬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와 백악관 측은 연방헌법의 탄핵관련 절차 미비의 허점을 이용해 하원 의원 전체의 탄핵 개시 표결을 주장하며 조사에 거부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중국에도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 의혹에 대한 조사를 공개적으로 촉구하면서 오히려 민주당에 맞불을 놨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의혹은 바이든 당시 부통령의 방중 직후 바이든 아들이 재직하던 회사가 중국은행에서 거액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주장인데, 물증은 아직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저는 정치에 전혀 관심 없습니다. 전혀 아닙니다. 그러나 부패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. 누군가가 중국에서 수십억 달러를 챙겼고, 그는 정말 부적절합니다. 그는 부적절합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언급한 것은 민주당의 역풍을 노리는 '나를 탄핵하라 전략'으로 이번 사태를 정면 돌파하려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연일 미국의 주요 매체들이 우크라이나 스캔들 관련 추가 의혹을 폭로하며 트럼프 대통령 측을 전례 없이 계속 코너로 몰고 있어, 북미협상 등 트럼프의 주요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00509245342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