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앞서 예고해 드린대로 서초동 현장 상황 사회부 사공성근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. <br><br>1-1. 일단 저희가 시청자 여러분께 있는 그대로 현장 영상 보여드리고 있습니다. 오늘 인원수를 좀 추정해 볼 수 있을까요? <br><br>현장 영상을 보시면 확실히 오늘도 많은 분이 집회에 참여하셨습니다. <br><br>보시는 쪽은 반포대로인데요. 왕복 8차선 도로가 가득 찼습니다. 서초역 사거리 4개 방향 차로가 가득찬 모습입니다. <br> <br>주최 측은 사전에 오늘 집회 인원을 10만 명으로 신고했습니다. <br><br>1-2. 200만 명이 모였다고 주장했던 지난주와 비교하면 어떻습니까? <br><br>지난 주에는 ㄴ자 였다면 오늘 십자가 모양이어서 단순 비교는 어려운데요. <br> <br>경찰의 추산법대로 단위 면적 당 사람 수를 추산해볼 순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지난주보다 집회 면적은 10%쯤 늘었는데요. 일반적으로 3.3㎥(1평)당 앉은 집회는 5~6명, 선 집회는 8~9명 정도인걸 감안하면, 꽉 들어찬 지금 약 10만 명~15만 명이 참석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그제 광화문에서 열린 조국 반대 집회의 추정인원 25만 명에는 약간 못 미친다고 볼수 있습니다. <br><br>3. 저희가 이걸 짚고 가야 하는 게 사실 어느 집회 쪽에 많이 모였느냐가 본질은 아닐 겁니다. <br> <br>거리로 나오는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치 시스템이 작동을 못 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고요. <br> <br>그럼에도 불구하고 숫자를 짚고 가는 것은 이게 자꾸 진영 간 숫자 싸움으로 번지는 모양새기 때문인데요. <br><br>조국 수호와 조국 사퇴 200만 명 대 300만 명. 이 숫자를 두고 한 주간 논란이 계속됐었죠. <br> <br>수싸움에만 집중한다는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오늘 주최 측에서 참가인원 추산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4. 정치권이 들어야 할 것은 숫자보다는 '메시지'이죠. 어떤 주장들이 나오고 있습니까? <br><br>참가자들이 들고 있는 작은 손팻말을 보시면 여전히 '조국 수호' '검찰 개혁'이란 문구가 먼저 나옵니다. <br><br>참가자들은 검찰청을 향해 구호를 외치고 함성을 함께 지르며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<br>5.그런데 이번 집회를 보면 대형 무대가 설치돼 유명 가수의 공연이 펼쳐지고요. <br> <br>집회 준비부터 진행까지 뭔가 체계적으로 준비됐다는 느낌이 들거든요? <br><br>네 맞습니다. <br> <br>앞서 개천절 광화문 집회를 두고 자발적인 집회 참여가 아니라고 비판했던 여당은 오늘 집회에 별도의 동원령은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다만, 서초동 집회도 집회 참여를 '독려'하는 메시지들이 감지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른바 진보 성향 유튜브와 팟캐스트 등을 중심으로 집회 관련 정보가 주중부터 전달되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집회 프로그램과 준비할 도구까지 전파됐는데요. 점점 조직화되는 모양새입니다. <br><br>5. 지금 현장에서 또 주목할만한 게 태극기가 등장했습니다. 보통 태극기하면 광화문의 보수단체 집회를 떠올리기 마련인데요. 어떤 의미를 담고 있습니까? <br><br>한 마디로 태극기의 의미를 되찾자 입니다. <br><br>거리를 가득 채우는 초대형 태극기가 보이고요. 태극문양만 있는 작은 손팻말도 있습니다. <br> <br>앵커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보수단체에서 집회에 태극기를 사용하면서 태극기가 보수 집회 상징이 되었는데, 원래는 '우리들', 시민들의 것이었으니 이번 집회를 통해서 태극기를 찾아오겠다는 겁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