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앞서 전해드린대로 7개월 만에 만난 미국과 북한이 또다시 빈손으로 헤어졌습니다. <br> <br>향후 일정도 잡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2주 후에 다시 보자고 했지만, 북한은 '연말'을 거론했습니다. <br> <br>미국과 북한의 서로 다른 셈법 스톡홀롬 현지에서 김윤종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김명길 /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] <br>"(한 말씀 해주시죠!) 두고 봅시다." <br><br>비교적 밝은 표정으로 회담에 임했던 북한 김명길 대사, <br> <br>그런데 협상 2시간 만에 갑자기 회의장을 떠났습니다. <br><br>[김명길 /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] <br>"(협상장에서 왜 빨리 나오셨습니까?)..." <br><br>다시 회담장에 돌아온 북한 측은, 4시간 가량 미국 측과 회담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오후 6시 반, 자국 대사관으로 돌아와 미국을 비난하며 협상 결렬을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먼저 핵을 포기할 의사가 없음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<br>[김명길 /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] <br>"우리가 먼저 핵 억제력을 포기해야 생존권과 발전권이 보장된다는 주장은 말 앞에 수레를 놓아야 한다는 소리와 마찬가지입니다." <br><br>같은 시각, 비건 대표 등 미국 측은 별도의 기자회견 없이, 식사 시간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대신 국무부가 서면을 통해, 협상 지속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><br>"북미를 중재하고 있는 스웨덴 정부는 2주 후 다시 만남을 갖자고 제안했고, 미국은 수락했습니다. 그러나 북한은 명확히 답하지 않았습니다." <br> <br>북한은 연말까지 미국에 시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. <br><br>본격적인 대선 레이스 전에, 성과를 내고 싶어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, 일종의 '벼랑끝 전술'이란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스톡홀름에서 채널A뉴스 김윤종입니다. <br> <br>zozo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최성림(VJ)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