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 정권에서 국정원이 청와대에 특수활동비를 상납한 사실이 드러나 특활비를 없애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죠. <br> <br>문재인 정부 첫 해 국정원 특활비를 삭감했지만, 이후 2년간 관련 예산이 크게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국회 예산정책처가 정리한 부처별 특수활동비 현황입니다.<br> <br>국정원은 전 정권의 특활비 유용 논란이 일자 지난해부터 특활비 대신 '안보비'로 이름을 바꿨는데 예산 규모는 2년 연속 늘었습니다. <br><br>박근혜 정부에서 4930억원이었던 관련 예산은 문재인 정부 첫 해에 3백억 원 삭감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올해에는 5445억 원으로 늘었고, 내년도 예산안에는 7055억 원으로 더 늘었습니다.<br> <br>박근혜 정부 때보다 2천억 원 넘게 늘어난 겁니다. <br><br>모범을 보이겠다며 특활비 삭감에 앞장선 청와대는 이후 추가 삭감없이 특활비를 동결했습니다.<br><br>반면 국회와 법무부, 경찰청 등 대부분 부처는 특활비를 줄여나가는 추세입니다.<br> <br>야당은 정부가 적폐 대상으로 규정한 국정원 특활비를 늘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[추경호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안보라는 이유로 기밀사항이 유지되더라도 비공개 회의때라도 특활비의 적정성에 대해서는 엄밀한 심사가 이뤄져야되고…" <br> <br>국정원은 "모든 예산을 특활비로 편성해온 만큼 다른 부처의 특활비와 개념 자체가 다르다"면서 "대내외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예산이 늘어난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kj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