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미국의 윌리엄 케일린과 그레그 서멘자 그리고 영국의 피터 랫클리프 등 3명에게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혀내 빈혈과 암 등의 치료법 수립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자로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하버드 대학의 윌리엄 케일린과 존스홉킨스 대학의 그레그 서멘자 그리고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피터 랫클리프 등 3명이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노벨위원회는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의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공로를 인정해 이들 3명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[토마스 펄만 / 노벨위원회 사무총장 : 윌리엄 케일린과 피터 랫클리프, 그레그 서멘자를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결정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들은 세포가 산소 농도를 감지하고 적응하는 과정을 발견한 공로로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혀내 빈혈과 암 등 혈중 산소농도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법 수립에 기여했다고 노벨위원회는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벨생리의학상 발표를 시작으로 내일(8일)은 물리학상, 9일은 화학상 10일은 문학상, 11일은 평화상이 그리고 14일은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됩니다. <br /> <br />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노벨평화상 수상자와 관련해 외신에서는 10대 기후 운동가인 스웨덴의 툰베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03년생인 툰베리는 지난해 8월 학교에 가는 대신 스웨덴 의사당 앞에서 기후 변화 대책을 요구하는 1인 시위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한 달 넘게 이어진 툰베리의 호소는 전 세계 100여 개 도시에서 수백만 명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'미래를 위한 금요일' 운동으로 발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툰베리는 지난달 유엔총회 일정 중 하나인 '기후행동정상회의'에서 격정적인 연설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처하지 못한 세계지도자들이 꿈을 빼앗아 갔다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 취임 후 노벨평화상에 애착을 드러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기자들에게 공평하게 수여한다면 자신은 많은 일과 관련해 노벨상을 받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수상자 선정이 공평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스웨덴 한림원의 이른바 미투 논란으로 시상이 취소된 노벨문학상의 경우 지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00723310992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