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부동산 시장의 이상 급등 현상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민간 아파트에 대해서도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하는 등 고강도 대책을 내놨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이런 시장 안정화 대책과 함께 수상한 자금을 동원한 이른바 '이상한 부동산 거래'를 잡아내기 위해 대대적인 합동 단속을 벌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. 김현우 기자! <br /> <br />우선, 정부가 이른바 수상한 부동산 실거래에 대한 고강도 집중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. 배경이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잠잠했던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달 마지막 주 서울 아파트값은 일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올해 최대폭으로 상승했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이 0.08%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남 4구의 상승 폭이 점차 확대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달 셋째 주 0.04%, 넷째 주 0.09%에 이어 다섯째 주에는 무려 0.11%나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올해 하반기 접어들면서 재건축 단지나 저평가됐던 지역을 중심으로 이상 급등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최근 성사된 부동산 거래 가운데 의심스러운 사례가 있다고 보고 집중 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정부가 대대적이고 집중적으로 이런 수상한 거래를 들여다 보기로 했는데요. 어떤 내용을 조사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역대 부동산 거래 조사 가운데 가장 많은 32개 기관이 참여합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를 중심으로 지자체, 국세청, 행정안전부, 금융당국 등이 조사를 진행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 조사는 특히 유독 거래가 많고 집값이 많이 오른 서울 강남권과 이른바 '마·용·성'으로 불리는 마포와 용산, 성동, 서대문구에 맞춰집니다. <br /> <br />조사는 부동산 거래 가운데 자금의 흐름이 이상한, 상식적으로 설명이 어려운 계약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봅니다. <br /> <br />정상적인 자금 조달로 보기 어려운 차입금 과다 거래, 현금 위주 거래, 가족 간 대출 의심 거래 등입니다. <br /> <br />또 업·다운 계약이나 허위계약 의심거래, 편법증여를 의심할 수 있는 미성년자 거래도 포함됩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우선 지난 8월 이후 실거래된 건을 살필 예정인데요, 필요하다면 그 전 거래까지도 파헤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합동 조사는 연말까지 이어지고, 내년부터는 국토부 중심의 '상시 조사가 운영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정부의 대대적인 조사 선언만으로도 부동산시장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100811112662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