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국제예술제에 출품했다가 사흘 만에 중단됐던 평화의 소녀상 전시가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익들의 협박이 심했던 만큼 관람객들의 안전을 위해 금속탐지기 검사까지 거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황보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 아이치트리엔날레 기획전 '표현의 부자유 그 후'에 출품됐다가 사흘 만에 벽 속에 갇히는 수모를 당해왔던 평화의 소녀상이 다시 관람객들과 만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익들의 반발과 정치권의 압력 등의 영향으로 전시가 중단된 지 66일 만입니다. <br /> <br />우익들의 협박이 극심했던 만큼 이번엔 까다로운 안전 대책이 새로 마련됐습니다. <br /> <br />관람은 하루 두 번, 인원은 추첨을 통해 각각 30명으로 제한했고 관람에 앞서 신분 확인과 금속탐지기 검사도 거쳐야 합니다. <br /> <br />또 주의 사항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은 뒤 주최 측 가이드와 함께 관람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내부 사진 촬영과 SNS 배포는 금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녀상 전시 중단에 항의하며 출품작 전시를 스스로 중단하거나 변경한 일본 국내외 작가들도 전시를 재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[관람객 : 소녀상 보려고 교토에서 왔습니다. 재개돼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늦게나마 사태가 일단락된 데 대해 반기는 분위기도 있지만, 반발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행사 주최 측 인사 중 한 명인 나고야 시장은 전시 재개에 반대하며 연좌시위를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[가와무라 타카시 / 나고야시장 : 전시 재개는 말도 안 되는 것이다. 이건 폭력이다, 안도 안 되는 폭력!] <br /> <br />전시 중단을 둘러싼 후폭풍도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가 사전 보고에 문제가 있었다며 이미 결정된 보조금 지급을 전면 취소한 데 대해 주최 측은 부당하다며 소송을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지 행정적 문제로 내린 결정이라고 일본 정부는 선을 긋고 있지만, 누가 봐도 소녀상 전시에 대한 불만에서 나온 조치가 분명해 보이는 만큼 표현의 자유를 훼손한 것이라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습니다,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황보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00819021509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