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수그러들지 않자 홍콩 당국이 중국에 개입을 요청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국경절 연휴가 끝나자마자 초강수를 두면서 사태 해결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복면시위 금지법에 항의하는 홍콩 시민들의 시위가 주말은 물론 월요일까지 계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단 며칠 사이에 백 명 이상이 체포됐지만 반발은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캐리 람 홍콩 행정 장관은 결국 사태가 악화하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캐리 람 / 홍콩 행정장관 : 만약 상황이 매우 나빠진다면, 그리고 홍콩에 또 다른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된다면 어떠한 선택도 배제하지 않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캐리람 장관의 이번 경고는 복면시위금지법에 이어 나온 홍콩 정부의 초강수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행정장관의 요청은 중국이 인민해방군을 투입할 때 거쳐야 하는 첫 번째 필수 절차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중국 정부와도 긴밀하게 조율됐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주의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며 중국의 개입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(홍콩 문제가) 인도적으로 해결되기를 바랍니다. 시진핑 주석이 그럴 능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홍콩 당국의 강경 대응이 효과가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이 12살 난 학생들까지 마구 체포하면서 오히려 분노를 키우는 측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건국 70주년 국경절 행사를 무리 없이 치러낸 중국은 이제 홍콩 문제 해결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 정부의 잇단 강경 대응 배경에 중국 정부의 이런 입장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(swkang@ytn.co.kr)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00821184089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