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스치기만 해도 불에 덴 것처럼 화끈거리는 통증이 생긴다고해서 화상벌레라고 하는 곤충이 전국 곳곳에서 나타납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절대 손으로 잡지 말라고 합니다. <br> <br>홍진우 기자가 찾아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빨간 몸통에 검은 줄무늬가 선명한 곤충이 더듬이를 쉼없이 움직입니다. <br> <br>동남아시아에 주로 서식하는 '청딱지개미반날개'입니다. <br><br>강한 독성을 갖고 있어 스치기만 해도 화끈거리고 피부가 벌겋게 변해 화상벌레로도 불립니다. <br> <br>최근 전북을 시작으로 충남과 경남, 경기 등 전국 각지에서 목격담과 피해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경남 통영시 주민] <br>"요 근래 너무 심각해서 저희가 밤마다 방충망 설치하고 약도 뿌리고" <br> <br>[화상 벌레 피해자] <br>"스치고 지나갔을 땐 몰랐는데, 이게 라이터에 살짝 화상 입은 것처럼 좀 화끈 화끈거리고 그런 식으로 느낌이 있었어요."<br><br>화상벌레는 1960년대 전남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바 있습니다. <br> <br>학계에선 이미 토착화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에 나타난 화상벌레 역시 국내에 퍼져 사는 토착종으로 드러났는데,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개체수가 급증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인용, 연세대 열대의학연구소 박사] <br>자연환경이 고온다습하다보면 먹이로 하는 식생 자원들이 늘어나고 그러다보니 청딱지개미반날개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><br>민원이 속출하자 보건 당국은 학교와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에 안내문을 배포하고 긴급 방역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당국은 절대 손을 이용해 벌레를 잡지 말고, 피부에 닿았을 경우 비눗물로 상처 부위를 씻어낸 뒤 병원을 찾으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홍진우입니다. <br> <br>jinu0322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정승환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