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조4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초대형 국책사업인 중이온가속기 구축 사업 일정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가속기 구축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는 핵심 장치부터 양산 일정에 심각한 차질이 생겼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초과학연구원 IBS의 핵심 사업인 중이온가속기 구축 사업. <br /> <br />입자를 매우 빠르게 가속해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내는 첨단 장비로 1조 4천억의 예산이 투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핵심 장치인 초전도 가속 모듈 양산이 늦어지면서 내후년 예정된 완공 일정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일까지 모듈 22개가 완성돼야 했지만, 현재까지 1개만 반입됐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성수 / 더불어민주당 의원(국회 과방위) :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걸 봐서 이게 과연 완공 시점이라고 한 데서 끝날 수 있을지 대단히 의문스럽거든요.] <br /> <br />[권면 / IBS 중이온가속기사업단 단장 : 품질 관련해서 양보 없이 진행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중이온가속기 사업단의 채용비리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실 선·후배가 응시자와 면접관으로 만나 공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변재일 / 더불어민주당 의원(국회 과방위) : 미진하다면 IBS에 대해서는 과기정통부 감사 역량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감사원 감사를 의뢰하는 것이….] <br /> <br />2017년 IBS에서 발생한 UNIST 학생 연구원에 대한 성희롱 문제 처리가 미비했다는 질타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박성중 / 자유한국당 의원(국회 과방위) : 성희롱 사건은 정신적 트라우마가 중요한 데, 즉각적인 분리 통제해야 하는 데, 2~3달 동안 이러다 보니깐 2차 피해가 발생했습니다.] <br /> <br />기업의 사외이사로 활동하는 KAIST 교수들이 이사회 안건 찬성률이 99.8%로 경영진의 거수기 역할에 그친다는 지적도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[sklee95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19101100235516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