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터키의 공격을 받는 쿠르드 족을 외면하면서 한미 동맹의 미래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소미아, 즉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와 관련한 한미 충돌 국면이 진행 중인 만큼 한미 동맹 관리는 더욱 세심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터키 군대가 남부 국경을 넘어 시리아 동북 지역에 진격한 것은 쿠르드족을 공격하기 위한 작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쿠르드족이 지난 몇 년 동안 미국의 동맹군 역할을 해왔는데도 미국은 쿠르드족을 외면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동맹국들은 미국을 이용하기만 했습니다. '나토' 자금의 경우 미국이 돈을 더 많이 내는데, 혜택은 유럽 국가들이 더 많습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동맹을 외면하는 장면이 실제로 나타나자 한미 동맹도 같은 운명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갑자기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동맹 역사도 짧고 쿠르드 족 공동체가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만큼 미국-쿠르드 동맹과 한미 동맹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 동맹의 경우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 국가가 필요하다는 조건이나 한미 양국이 군사 동맹의 최고 단계인 연합사 체제를 40년 이상 유지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과 협력해서 한반도에 평화 체제를 구축할 경우 외교적 업적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도 특이한 조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한미 양국이 지소미아, 즉 한일 군사정보 보호협정 종료 문제로 심각하게 충돌하는 상황인 만큼 불안 심리가 증폭된 것은 자연스런 흐름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주한 미군 철수를 선호한다거나, 방위비 분담금 대폭 인상을 원하는 문제도 민감한 변수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한미 동맹이 여전히 튼튼하지만, 동맹을 약화시킬 수 있는 요소가 이중 삼중으로 겹쳐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이고 세심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01205455697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